서산시,웅도 갯벌생태계 교량건설 해수유통 복원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산시,웅도 갯벌생태계 교량건설 해수유통 복원

(서산)0823  웅도 중간보고회 2.jpg
사진은 지난 23일 서산시청 대회의실에서 맹정호 시장 주재로 열린 웅도 갯벌생태계 복원사업 기본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 모습

 

서산시,웅도 갯벌생태계 교량건설 해수유통 복원

23일 갯벌생태계 복원사업 기본계획수립 용역 중간보고회서 용역사 제안  

서산시가 추진하는 웅도 갯벌생태계 복원사업이 현재 해수유통을 차단하고 있는 제2유두교(진입로)를 제거하고 해수소통이 가능한 교량을 건설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업 수행기관인 해양환경공단(이사장 박승기)23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웅도 갯벌생태계 복원사업 기본계획수립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이 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시에 따르면 해양환경공단 관계자는 이날 웅도 어민들이 갯벌에 드나드는 진입로(2유두교)가 해수유통을 차단해 어장의 해양환경이 변하고 수산생물들의 산란장 등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제2유두교를 제거하고 교량을 설치해 해수유통을 원활하게 하면 수산생물의 산란장과 해양환경도 복원될 수 있다웅도 어민들의 숙원사업인 상시 진출입로도 확보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에 따라 시는 용역사의 제안사항을 면밀히 검토해 사업 기본계획을 최종 수립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대산읍 웅도 갯벌생태계 복원사업은 2018년 해양수산부갯벌생태계 복원사업 중기 추진 계획’(2019 ~ 2023) 수립시행으로 선정된 사업이며 시는 이날 맹정호 시장 주재로 기본계획수립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에 앞서 웅도는 서산시 4개 유인도서 중 유일하게 진입로(2유두교)가 설치된 지역이지만 유두교로 인해 해수유통이 차단되는 효과로 해양환경이 변하고 수산생물 산란지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문제가 그동안 꾸준히 제기돼 왔다.

맹정호 시장은 웅도 갯벌생태계 복원사업은 고파도와 함께 가로림만 국가해양정원 조성사업의 핵심사업이라며웅도 갯벌생태계 복원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돼 갯벌기능을 회복하고 가로림만의 명소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서산=skcy21@ccnewsland.co.kr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